본문 바로가기
The Fish Lab (기타 관상어 자료실)

피쉬베이스 (www.fishbase.org) 사용법

by 깜순이 (정지석) 2023. 2. 14.
728x90
반응형
SMALL

 

 

 ■자료글을 보기 전에

1. 본 자료글은 전반적인 어류에 대한 자료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www.Fishbase.org"의 사용법을 소개하기 위한 자료글입니다.

2. 본 글의 모든 자료 저작권은 작성자 그리고 Fishbase에 있습니다.

3. 자료글 내 스크린샷에 나온 모든 자료의 저작권은 Fishbase에 있습니다.

4. Fishbase의 모든 자료는 영문 검색을 기본으로 하며, Chrom을 사용할 시 자동으로 번역 가능합니다.

 

Fishbase는 학술적으로 보고된 수많은 어종에 대한 기본 자료들을 검색할 수 있는 포털로, 잘만 사용한다면 그 어종에 대한 자료를 무궁무진하게 뽑아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사이트입니다.

다만 영문으로 이뤄져있고 사이트가 상당히 복잡한 탓에 많은 분들이 사용에 어려움을 격고 계시는듯 하여 자료글로서 소개해보게 되었습니다.

 

 

 Fishbase에 접속하면 가장 먼저 보이는 화면입니다.

각 카테고리에 대한 해석은 제가 임의로 붙여둔거라 뜨지 않습니다.

 

페이지 가장 상단에는 Fishbase의 로고와 얼마나 많은 종들이 등록되어있는지, 현재 방문자수는 어떤지가 나와있습니다.

우측에는 페이스북 페이지와 기부 페이지가 나와있습니다.

 

 

 

그 하단에 보면 "Common Name" 칸이 있습니다.

 

이 칸에서는 커먼네임에 따른 종 검색을 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로 등록된 커먼네임은 거의 없기 때문에 대부분 영어 커먼네임으로 검색하셔야 합니다.

 

ex.) 폴립테루스 데르헤지 -> Mottled bichir

 

때문에 별로 쓸 일이 많지는 않습니다.

 

 

 

그 아래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Scientific Name" 칸입니다.

 

이 칸에서는 학명에 따른 종 검색을 할 수 있습니다.

칸 상단의 Genus 칸에는 찾고자 하는 어종의 속명을 (폴립테루스 엔드리케리 -> Polypterus),

하단의 Species 칸에는 찾고자 하는 어종의 종명을 (폴립테루스 엔드리케리 -> endlicheri) 넣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학명에 있어 이명법에 의해 두개로 나눠진 단어중 앞쪽이 속명, 뒤쪽이 종명입니다. 간혹 아종명까지 붙어 3명법으로 되어있는 학명이 있는데 그 경우에는 맨 앞이 속명, 중간이 종명입니다. 아종 단위의 경우 현재 분류학계에서는 어류에 잘 사용하지 않기때문에 검색은 속명과 종명만으로 진행합니다.

 

만약 검색 시 속명 혹은 종명만 넣고 검색하면 해당 속의 전종 또는 해당 종명을 쓰는 모든 어종이 검색 결과로 나옵니다.

 

ex.) 속명만 검색할시 "Polypterus" 검색 ->  Polypterus endlicheri, Polypterus ansorgii, Polypterus senegalsus 등등

ex.) 종명만 검색할시 "Ansorgii" 검색 -> Polyprerus ansorgii, Microctenopoma ansorgii, Labeo ansorgii 등등

 

맨 하단의 "Genus + Species" 칸에는 속명과 종명을 함께 적어 검색할 어종이 확실할 때 사용합니다.

 

 

 

" Glossary" 칸에서는

주로 속명을 일부만 알고 있을 때 사용하는 칸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종의 학명 전체를 알고있지 못하는 상황에서 알고있는 부분만 검색하면 그 글자를 포함한 모든 결과를 보여주는 칸입니다.

 

ex.) "Po" 검색 -> Polypterus, Polydon 등등

 

검색 후 나오는 자료를 해석하는 방법은 검색방법을 전체적으로 설명한 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Information by Country/Island" , "Information by Ecosystem" , "Regional Interfaces"칸은

어종이 해수어인지, 담수어인지, 혹은 어느 대륙에 서식하는지 와 같은 어종의 서식정보, 게임피쉬, 식용어 등 과 같은 해당 어종의 이용방법에 따른 검색 방법으로, 특히 "Regional Interfaces"는 지역별로 나눠진 Fishbase의 자매 사이트들로 간혹 통합 Fishbase에 없는 자료들이 지역 Fishbase 사이트에는 올라와 있기도 합니다.

 

 

 

"Information by Topic" , "Tools"

이 칸에서는 어종을 검색하면서 특정 확인해야할 자료가 있을 시 사용하는 칸으로, 주로 학술적인 목적으로 검색할때만 사용하는 칸입니다.

 

"References"

이 칸은 Fishbase에서 자료를 업로드할 때 사용한 논문에 따라 검색할 수 있는 칸입니다.

역시 학술적 목적으로 검색할때만 주로 사용되는 칸입니다.

 

 

 

이 아래부터는  "폴립테루스" 중 가장 흔한 폴립테루스 세네갈을 예시로 검색 시 나오는 자료들을 보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저는 Genus 칸과 Species 칸에 각각 Polypterus 와 Senegalus를 적어 검색했지만, Genus + Species 칸에 Polypterus seneglaus로 한번에 적어 검색해도 무방합니다.

 

참고로 현재 통용되지 않는 구 학명으로 검색하면 현 학명으로 검색한것과 같은 창이 나옵니다.

 

ex.) 폴립테루스 세네갈 -> Polypterus arnaudi(구 학명), Polypterus senegalus(현 학명) 모두 같은 검색결과가 나옴 

 

 일단 검색해서 창이 뜨면 맨 상단에 현재 통용되는 학명, 명명자, 명명 년도가 나오고 그 아래에 영문으로 된 커먼네임이 나옵니다.

 

사진의 경우 어종마다 달라 등록이 되어있는 경우에는 나오고 등록이 되어있지 않으면 나오지 않습니다.

 

 

"Classifaction/Name"

이 칸에는 해당 어종의 분류군과 학명의 유래에 대한 내용이 있습니다.

폴립 세네갈의 경우 조기어강 -> 다기목 -> 다기과 -> 폴립테루스속 으로 소개되어있네요.

 

학명의 유래의 경우 학명 자체가 라틴어이기 때문에 학명의  라틴어와 그 뜻을 소개합니다.

 

폴립테루스 세네갈에서 속명인 폴립테루스는 많다는 뜻인 "Poly"와 날개를 뜻하는 "Peteron"의 합상어이며, 세네갈루스라는 종명은 이 종의 발견자 (명명자와는 좀 다른 이 종을 처음 채집해 분류학자에게 전달한 사람)인 아르나우드 박사가 지은 이름이라는군요.

(때문에 세네갈의 구 학명중 Polypterus arnaudii가 있습니다.)

보통 학명의 종명과 동일 혹은 비슷한 지명이 있는 경우 그 지역에서 처음 채집해 지명을 종명으로 붙이는 일이 흔하기 때문에 세네갈 지역에서 처음 채집되어 Polypterus senegalus라는 종명을 얻게 되었다는 추측도 무리는 아닙니다.

 

 

 

"Environment, Climate, Range"

이 칸에는 해당 종의 서식지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세네갈은 담수어종이며, 저서어종(Demersal)으로 기술되어있네요.

서식지의 수질은 Ph 6~8, 경도는 5~19, 수온은 25~28도인 열대수역에 서식합니다.

그 외 서식지의 위도와 경도에 대한 자료도 나와있습니다.

 

특히 이 부분은 사육에 중요한 수질 부분을 체크 할 수 있기 때문에 봐둘 필요가 있습니다.

 

 

 

"Discribtion"

이 칸에는 별도로 주목해봐야 할 내용, 이를테면 아종에 대한 내용들이 기술되어있습니다.

세네갈의 경우 세네갈스 세네갈스와 세네갈스 메리디오날리스 두 아종에 대해 기술되어 있으며, 투루카나와 나일강산 개체들 또한 세네갈스 세네갈스로 분류하고 있네요.

메리디오날리스는 대략적인 서식지만 기술되어있고 자료가 없습니다.

 

 

 

"Length at first maturity / Size / Weight / Age"

이 칸에는 해당 어종의 최대 성장크기, 일반적인 채집 크기와 무게, 그리고 개체들의 나이에 대해 서술되어 있습니다.

Fishbase를 통해 한 어종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를 찾고자 할때에는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부분이지만, Fishbase는 실제 현장에서 채집된 기록을 바탕으로 자료가 제작되 간혹 잘못된 자료들도 있기 때문에 너무 신뢰하지는 않는것이 좋습니다.

여기서도 뭘 잡아서 사이즈를 잰것인지 세네갈의 최대크기가 70센티로 기록되어있습니다.

 

 

 

 

"Short discribtion"

이 칸에는 주로 해당 어종에 대한 짤막한 형태적 특징이 서술되어있습니다.

세네갈의 경우 등지느러미의 갯수, 윗턱이 아랫턱보다 긴 점, 가슴지느러미가 첫번째 등지느러미에 닿지 못하는 점 등이 서술되어있습니다.

만약 Fishbase에서 찾은 자료로 어떤 개체의 종을 동정할때는 확인해봐야 하는 자료입니다.

 



 

 

 

"Biology"

이 칸에는 해당 어종의 간단한 생활 양식 등이 서술되어있습니다.

어떤 환경에서 서식하고 어떤걸 먹는지 등을 서술해놓기 때문에 사육에 있어서 상당히 도움되는 자료들이 많습니다.

 

 

 

"Life cycle and mating behavior"

이 칸에는 해당 어종의 생활 주기(알-성체)와 산란 습성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해당 종을 브리딩하기 전 사전 자료조사를 한다면 꼭 한번 읽어볼 필요가 있는 부분으로, 알에대한 특징, 산란행동 방식 등이 기술되어 있기때문에 수조 내에서 산란을 유도할때도 상당히 도움이 되는 부분들입니다.

 

 

 

"Main referance~Human uses"

설명되어있는 그대로입니다.

딱히 사육에 유용한 자료들은 잘 없습니다.

 

 

 

 

"More information"

해당 종에 대한 더 많은 자료들을 찾을 수 있는 칸으로 아래에서 추가 설명을 하겠지만, 이 칸을 어떻게 이용하는가에 따라 Fishbase의 활용도가 달라집니다.

푸른 글씨로 작성된 부분은 자료가 등록되어있어 클릭하면 자료화면으로 넘어가고, 검은 글씨로 작성된 부분은 자료가 아직 등록되어있지 않아 클릭해도 아무런 일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Tools~Internet sorce"

이 칸들에서도 그닥 사육에 유용한 자료를 찾기는 힘듭니다.

 

 

 

 

 

 

 

이 아래에서는 위에 언급했던 "More information" 칸의 사용 예를 몇개 뽑아 보여드리겠습니다.

아래 예시로 든 것 말고도 많은 자료가 있으니 직접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Country list"

위 More information 칸에서 Country list를 클릭하면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된 해당 어종의 채집지가 지도와 함께 표시됩니다.

위에는 몇개국가에서 보고되었는지와 함께 표에는 앞쪽부터 대륙-국가-야생종인지 이입종인지, 채집여부와 담수 해수여부 등이 표기되며 그 뒤에 해당 자료의 참조문헌이 나와있습니다.

 

Occurrence 칸에서 native 라고 표기된것은 이 종이 이 지역에 자연 서식하던 것임을(invaded라고 표기됬으면 해당 지역에 인위적으로 이입된 종임을 나타냅니다.), 원의 초록 테두리는 채집 보고됨, 노란 테두리는 서식 가능성이 있음, 붉은 테두리는 해당 지역에 서식하지 않음이 확인됨, 원 안쪽의 하늘색은 담수, 녹색은 기수, 파란색은 해수에서 채집됨을 의미합니다.

 



 

 

"Synenyms"

이 칸에는 해당 종의 학명의 동의어들, 즉 구 학명 혹은 오타가 기록되어있습니다.

맨 위에는 현재 통용되고 있는 학명이, 그 아래들이 모두 학명의 동의어 (동종이명)인데, 붉은 느낌표 표시가 된 것들은 "오타"로 절대 저대로 표기되서는 않되는 이름입니다.

 

보면 아종단계에서 폴립테루스 세네갈을 지칭하는 Polypterus senegalus senegalus와 세네갈의 구 학명인 Polypterus arnaudii 도 눈에 띕니다.

 

맨 아래 비키르, 라프라디, 데르헤지가 보이는것은 세네갈의 표본이 비키르, 라프라디, 데르헤지로 잘못 보고된적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Common names"

이 칸에서는 해당 어종의 학명이 아닌 평상시에 불리는 커먼네임(유통명)이 전 세계 언어로 적혀있으며, 앞부터 커먼네임, 사용 국가, 사용 언어, 타입(방언 여부) 마지막으로 공식 유통명인지 여부가 적혀있습니다.

보통 폴립테루스의 경우 학명이 유통명을 대신하고 있기때문에 커먼네임 칸에는 유통명이 없습니다.


 

"Food and feeding habits"

이 칸에서는 해당 어종이 실제로 무었을 먹고 생활하는지, 사이즈별 표본의 위장에서 확인된 먹이들이 기록되어있습니다.

세네갈의 경우 단 한개의 표본만 기록이 있으나, 다른 어종들에서는 여러 사이즈의 표본들을 비교해가며 분석해볼 수 있습니다.

 

좌측부터 먹이 (Zoobethos는 저서생물을 의미합니다.), 위장에서 발견된 비율, 먹이사슬의 위치 (3.5면 2차소비자와 최상위포식자 중간단계), 성체인지 아닌지 여부, 채집 국가, 채집 지역 그리고 자료 출처가 있습니다.

실제로 특정 어종이 야생에서 무엇을 먹으며 사는지 궁금할 때 매우 유용하며, 특히 별로 자료가 없는 신규 어종 입양을 준비할때 필수적으로 체크하는 부분입니다.


 

 

 

"Eggs"

이 칸에서는 해당 종의 알에 관한 특징들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위부터 출처, 알을 발견한 위치와 발생정도, 알의 모양, 알의 특성, 색, 핵의 색 등이 적히며, 아직 확인된 정보가 없을 시 위처럼 확인된 정보가 있는 칸에만 자료가 쓰여있습니다.

 

세네갈의 경우 주로 돌과 식물체에 알이 붙어서 발견되며 점성이 있다고 기술되어있네요.

 

 

 

"Spawning"

이 칸에서는 해당 종의 산란기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표의 좌측부터 1~12월까지가 나와있으며 산란이 관찰된 때에 표기가 되있습니다.

12월 우측에는 국가와 관찰 장소에대해 기술되어있습니다.

 

워낙 서식지가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어종이라 서식지마다 산란기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Not given이라고 표기된 것은 관찰 국가는 알려져있으나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Pictures"

이 칸에는 해당 어종에 대한 추가적인 사진자료와 삽화 자료들이 나와있습니다.

위 칸에는 학자들이 직접 등록한 사진들이 나와있으며, 아래에는 Fishbase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등록한 사진들이 올라갑니다.

사진의 등록은 누구나 자유롭게 신청해 올릴 수 있기때문에 사진자료가 없는 종이라면 한번 올려보는 것도 재미있을듯 합니다.

 

 

 

 

 

 

 

 

 

이로서 Fishbase의 사용법에 대한 간단한 자료글이 끝났습니다.

생각보다 굉장히 유용한 자료들이 많이 있는 사이트이니 회원분들도 이용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