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립테루스 콘기쿠스
(Polypterus congicus Boulenger, 1898)
국명: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영명: Congo bichir
동종이명
Polypterus endlicheri congicus Boulenger 1898
서식지: 콩고민주공화국 및 콩고공화국 등 콩고강 수계 전반 및 탕가니카 호수
평균 성장크기: 60~65cm
최대 성장크기: 90cm 이상
권장 수조 크기: 1800.750.650(h) 이상
권장 수온 / pH: 26~30'c / 6.5~9.0
식성 / 권장 먹이: 육식성 / 육식어 사료, 냉동 미꾸라지 등
등지느러미 수: 12~15개
(현재까지 학술적으로 보고된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서식지) 1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서식지 특성
폴립테루스 콘기쿠스는 콩고강 일대와 탕가니카 호수에 서식하는 종으로, 분포하는 수계는 한정되어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다양한 서식지에서 확인되는 종입니다.
특히나 강 혹은 늪지 등에 주로 분포하는 콩고의 개체군과 맑고 매우 깊은 호수에 서식하는 탕가니카 호수의 개체군은 서식지에 있어 굉장히 큰 차이를 보이며, 각 서식지간의 수질 조건 역시 매우 큰 차이를 보입니다.
Instagram의 アクアルミエール님 : "マレボ湖周辺の支流です。この辺りでもP.ウィークシー、P.コンギクスは採れるそうです。"
(콩고강 수계의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서식지인 "Pool Malebo" 지역 전경)
위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듯 콩고 지역의 콘기쿠스 서식지는 대부분 위와 같이 수변식물들이 번무하고 있는 늪지나 하천, 일부 호수 등에 서식하며, 영상에서도 볼 수 있듯 탕가니카 호수산 개체들의 서식지에 비해 비교적 탁하고 블랙워터에 가까운 수질을 띄고 있습니다.
이 지역의 수질은 pH 5.9~6.5 전후의 약산성 수질에 수온은 28~29'c 전후로2 국내에서 주로 알려진 탕가니카 호수의 조건과는 상당히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지역에서 함께 채집되는 종들로는 문 테트라와 같은 다수의 아프리칸 테트라들, 타이거피쉬, 크테노포마, 라베오, 아프리칸 캣피쉬류, 전기메기, 몰미롭스 등 총 282종이 보고된 상태이며,
폴립테루스의 경우에도 콘기쿠스를 포함하여 콩고 지역에서 보고된 폴립테루스 전종이 분포하는 매우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이는 지역입니다.
실제로 위 영상의 장소에서도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함께 대형 폴립테루스 위크시 또한 함께 채집되었다고 합니다.
(탕가니카 호수의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서식지 전경) 3
(탕가니카 호수의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서식지 전경) 3
(탕가니카 호수의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서식지 전경) 3
(탕가니카 호수의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서식지 전경) 3
(탕가니카 호수의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서식지 전경) 3
반면 탕가니카 호수의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서식지는 마치 바다와 같은 매우 넓은 지역에 수변식물보다는 바위 하상이 많고, 매우 투명한 수질을 보입니다.
탕가니카 호수의 경우 위 콩고강의 서식지와는 달리 pH는 7.5~9 가량으로 알칼리성을 띄며, 수온은 수심에 따라 편차가 있으나 23~30'c까지 상당히 넓은 범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혼서하는 어종들의 경우 다양한 시클리드류와 함께, 일부 스피니일, 탕가니카 전기메기, 파치류 및 타이거피쉬 등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야생의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위장 속에서 발견된 내용물) 4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먹이
야생에서 폴립테루스 콘기쿠스는 주로 작은 어류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특이 케이스에서는 식물을 먹은 사례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서식지에 따라 주로 포식하는 어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콩고강 지역의 경우 해당 지역에 풍부한 소형 카라신류와 몰미리드, 캣피쉬 등을 주로 섭식할 것으로 추정되는 반면, 탕가니카 호수의 개체군의 경우에는 대부분 시클리드와 탕가니카 호수에 대량으로 서식하는 "탕가니카 정어리"를 주로 포식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탕가니카 정어리의 경우 실제로 청어목에 속하는 종입니다)
이로 인한 영향인지, 필자의 경험에 따르면 탕가니카 호수산 개체들의 경우 유동 냉동 멸치나 냉동 빙어 등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으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냉동 미꾸라지 혹은 육식어용 배합사료 또한 반응이 좋은 편이었습니다.
더불어 일부 탕가니카 호수산 개체들의 경우 탕가니카 시클리드용 식물성 사료에 대한 먹이반응 또한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 것이 개체의 기호도에 의한것인지, 혹은 탕가니카 호수산 개체군의 특징인지는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인 사육에서는 냉동 미꾸라지 등 어류 및 배합사료에 기초를 한 식단에, 담수어 급여시 티아미나제에 의해 발생하기 쉬운 비타민 B1 결핍증을 예방하기 위해 비타민제를 주기적으로 급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먹이급여 주기는 치어시기에는 1일에 1회 혹은 1일에 수회까지 자주 급이하는 것이 좋으며, 성어가 된 이후에는 1주일에 1~3회 가량으로 급이 주기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콩고산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5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사육
폴립테루스 콘기쿠스는 산지에 따라 유통의 안정성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나, 대표적인 두 산지의 개체군 모두 수조 내에서 빠른 성장과, 함께 크게 까다롭지 않은 발색 조건 등으로 상당한 팬층을 보유한 종입니다.
특히 오랜기간 많은 매니아들이 기다리던 탕가니카 호수산 개체군들 또한 유통이 시작하며 국내외의 폴립테루스 마니아들 사이에서 굉장히 큰 인기를 얻고 있는데,
기존에 거의 유통되지 않던 큰 사이즈의 개체들이 콩고와 탕가니카 호수 모두에서 채집, 유통되기 시작하며 현생 폴립테루스 중 최대종이 기존에 알려졌던 비키르가 아닌, 콘기쿠스일 것이라는 추측 또한 큰 설득력을 얻고 있는 상태입니다.
(탕가니카 호수산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6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경우 최대 성장크기 90cm 이상, 수조 내에서도 어렵지 않게 70cm 이상으로 성장하는데다, 상당히 활동적인 편이기 때문에 큰 수조를 필요로 합니다.
때문에 가급적 최소 1800 * 750 * 650mm 이상의 수조를 권장하며, 부정기적으로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수입되는 브리딩개체들의 경우에도 최소 1200 * 600 * 600mm 이상의 수조가 필요로 합니다.
또한 성어급 콘기쿠스의 경우 힘과 점프력이 상당히 좋은 편이기에 특히 뚜껑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대형 개체들의 경우 유리와 같은 깨질 수 있는 재질의 뚜껑을 피하고, 아크릴이나 PC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수조 상부 가장자리에 수조 보강대가 있으면 점프사 방지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이 외에도 대형 폴립테루스 특성상 수조의 뚜껑과 수면 간의 사이 간격이 너무 적으면 호흡에 방해가 되고, 뇌진탕의 원인이 될 수 있기에 가급적 수면과 뚜껑 사이에는 최소 10cm 이상의 간격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노란색이 강하게 나타나는 콩고산 콘기쿠스
회색이 강하게 나타나는 콩고산 콘기쿠스
"구 타입" 콩고산 콘기쿠스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발색의 경우, 산지에 따라, 개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편인데, 특히 콩고산 개체군에서 굉장히 다양한 발색들을 보여주는 편입니다.
일반적으로 콩고산 콘기쿠스의 경우 회색에 가까운 체색을 띄는 경우가 많으나, 개체에 따라 노란색 또는 녹색 발색을 띄는 개체들 또한 존재하는데, 과거 콘기쿠스의 유통 초창기에는 녹색 발색이 나타나는 개체들이 주로 유통되었기에 지금에 와서는 이러한 개체들이 "구 타입"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탕가니카 호수의 개체군의 경우 대부분 회색 계통의 발색을 띄며, 개체간의 발색 차이는 크지 않으나, 패턴의 다양성이 콩고산 개체들보다 월등히 높기 때문에 사육자의 취향에 따라 상당한 선택지가 존재합니다.
이 중, 콩고산 개체들 중 특히 회색과 녹색이 강한 개체들과 탕가니카산 개체들의 경우 적사 뿐만 아니라, 의외로 흑사와 같은 바닥재에도 잘 어울리는 편이며, 필자의 경우 이전에 ADA 사의 "아쿠아 그래블" 바닥재에서 상당히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은 바 있습니다.
탕가니카 호수산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경우 다른 대부분의 폴립테루스속 어종들과 비슷하게 질병에 강한 편이나, 수입 시 유입 가능성이 있는 포리푸티 및 환절기에 자주 발생하는 에로모나스, 뇌진탕, 점프사 등에 대한 대책을 미리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콘기쿠스의 경우 각 산지에 따라 서식지 수질에 차이가 있으나, 수조 내에서 사육 시 질산염 축적 등에 의한 갑작스러운 pH 하락을 막기 위해 뼈산호 등을 여과조에 미리 넣어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특히나 환절기나 비가 올 때 과식한 상태에서 점프하거나 수조 벽과 충돌해 내장파열로 폐사하는 경후 또한 빈번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미리 먹이 급여 조절 등의 조치를 통해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탕가니카 호수에서 촬영된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7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지역변이
폴립테루스 콘기쿠스가 콩고강과 탕가니카 호수, 두 지역에 분포한다는 사실은 상당히 오래전인 1980년대부터 알려져 온 것으로 보이나, 탕가니카 호수와 콩고강 일대의 개체군의 차이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2004년 발간된 Aqualog Polypterus편에서 언급된 이후로 추정됩니다.
그간 관상어로서 꾸준히 유통되어온 콩고산 개체군과는 달리, 탕가니카 호수산 개체군의 경우 Aqualog 서적 내 사진과, 일본의 폐어 연구가 "Hiroki Komeiji"씨가 현지 탐사 중 채집한 개체의 사진 몇장, 그리고 일부 탕가니카 호수의 시클리드를 수중촬영하며 얻어걸린 몇장의 사진만이 알려져 폴립테루스 마니아들에게 "미지의 폴립테루스"로 알려져 왔습니다.
특히나 현재는 콘기쿠스의 동종이명으로 취급되고 있는 Polypterus bichir katangae에 대한 재분류가 이뤄지기 이전인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탕가니카 호수의 개체군의 사진과 P. bichir katangae의 정보들이 뒤섞여 상당한 혼란이 있어왔으나, 현재에 와서는 콩고 강과 탕가니카 호수산 개체군이 동일 종의 분리된 개체군 정도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더불어 과거 폴립테루스 엔드리케리의 아종으로써 알려져왔던 폴립테루스 엔드리케리 콘기쿠스라는 명칭은 2010년 일본의 Dai Suzuki 박사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아예 별개의 종으로서 재분류되며 현재는 폴립테루스 콘기쿠스로 개정되었습니다.
(콩고산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8
콩고강 수계의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콩고강 수계에 서식하는 콘기쿠스는 일반적으로 밴드의 명도가 옅고, 개체에 따라 다르나 아가미뚜껑에 들어가는 무늬가 적은 편입니다.
개체에 따라서는 밴드가 두껍고 짙거나, 머리쪽 무늬가 많은 개체들도 존재하나, 일반적으로 그 패턴인 일직선 가로무늬에 가깝고, 체색은 회색이 대부분입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탕가니카 호수산 개체군에 비해 소형으로 성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다만 이는 상대적으로 일반적으로 채집되는 개체들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 콩고산 개체들 또한 최대 88cm의 개체까지 채집, 관상어로서 유통된 바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관상어로 채집되는 개체들의 경우 콩고민주공화국의 수도이자 관상어 수출업체가 모여있는 Kinshasa 지역 주위에서 채집되나, 콩고강 수계 전반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탕가니카 호수산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9
탕가니카 호수의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탕가니카 호수산 개체들의 경우 탕가니카 호수의 동남부 연안에 분포하며, 짙은 체측 무늬와 함께 비교적 많은 아가미 뚜껑 무늬, 그리고 머리 위의 원형 방사무늬 등의 외형적 특징을 갖습니다.
탕가니카 호수의 콘기쿠스의 경우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거대한 현생 폴립테루스 개체군으로 추정되는데, 80cm 이상급이 매우 드물게 채집되는 폴립테루스 안솔기, 폴립테루스 비키르, 그리고 콩고 수계의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와는 달리 80cm 이상의 개체들도 비교적 흔히 채집되며, 90cm 이상급의 개체가 관상용으로 채집, 수출된 기록이 존재합니다.
일부 탕가니카 호수의 현지 수중촬영을 진행한 사람들에 의하면 1m 이상급의 개체들 또한 존재한다고 하는데, 이 부분에 있어서는 아직 제대로 크기가 측정된 1m 이상의 개체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현재 채집되는 개체들의 크기 분포 양상을 보아서는 충분히 1m 이상급 개체들도 존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수입 당시 개체들이 채집되었던 지역 이름을 따 "Sp. 키란도"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해외에서는 과거 신종으로 가능성이 있다고 보아 Polypterus Sp. Aff. Congicus 또는 Polypterus sp. Giselas 라는 명칭으로 불렀으나, 지난 2022년 필자의 학부 졸업논문 연구 결과 콩고산 개체군과 탕가니카산 개체군의 mtCOI 유전자의 차이가 0.49%~1.31% 사이로 나타나 신종으로서의 가능성이 낮아지며 현재는 탕가니카 호수산 폴립테루스 콘기쿠스라는 의미에서 Polypterus congicus "Lake Tanganyika"라고 표기되고 있습니다.10
때문에 국내에서의 유통명 역시 신종이 아닌, 지역 개체군의 의미가 강한 "탕가니카 호수산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정도로 조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입니다.
(콩고산 야생 플래티넘 콘기쿠스) 11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번식과 특수개체
폴립테루스 콘기쿠스는 아직 국내에서 번식된 바는 없으나, 2013년경 일본에서 최초로 번식되고, 이후 2015년경부터는 인도네시아 등지에서도 부정기적으로 번식되어 브리딩 개체들이 유통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다만 지금까지 번식되어온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경우 전부 콩고산 개체군을 종어로 사용해 번식된 개체들로, 아직 탕가니카 호수산 개체를 이용한 번식은 알려진 바가 없으며, 두 서식지의 수질 및 환경에 워낙 큰 차이가 있다 보니 번식에 있어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콩고산 알비노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12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특수개체의 경우, 일반적으로 브리딩 도중 출현하는 숏바디와 플래티넘 외에도, 비교적 많은 수의 야생 색소 변이 개체들이 알려져 있는데, 현재까지 발견된 야생 색소변이 개체는 콩고강 수계에서 플래티넘 개체와 알비노 개체, 탕가니카 호수에서 플래티넘 개체가 확인되었습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대량으로 양식되는 폴립테루스 엔드리케리와는 달리 소수의 농장들에서만 제한적으로 양식되고 있는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경우 양식 플래티넘 개체라도 가격대가 상당히 높으며, 야생 플래티넘 개체의 경우 수천만원대를 호가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탕가니카 호수산 야생 플래티넘 폴립테루스 콘기쿠스)
최근에는 대형 개체들이 다수 유통된 일본을 중심으로 탕가니카 호수산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번식을 노리고 사육에 임하는 사육자들이 늘고있는 만큼, 머지않아 탕가니카 호수산 폴립테루스 콘기쿠스의 인공번식 개체 또한 볼 수 있지 않을까 기대됩니다.
1) 사진출처: Revision of the extanct Polypteridae (Actinopterygii: Cladistia), Timo Moritz & Ralf Britz 2019
2) Environmental variables structuring Labeo species (Pisces, Cyprinidae) in Malebo Pool, Congo River, Victor Pwema Kiamfu et. al. 2011
3) 사진출처: http://tanganyika.si/Locations/slides/Maswa%20Point.html
4) 사진출처:
5) 사진출처: https://www.big-in.jp/itemlist.php?type=1002001
6) 사진출처: https://store.shopping.yahoo.co.jp/world-rivers-net/po381.html
7) 사진출처: https://www.facebook.com/photo/?fbid=5521986334484358&set=gm.2113096252178848
8) 사진출처: https://www.big-in.jp/itemlist.php?pageNum_rs=14&totalRows_rs=648&type=1002000
9) 사진출처: https://twitter.com/haigyo3komeiji/status/714366580985978880/photo/1
10)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thepolypteruslab.tistory.com/36
11) 사진출처: https://www.monsterfishkeepers.com/forums/threads/polypterus-congicus-photo-thread.275353/page-22
'The Polypterus lab (폴립테루스 자료실) > 폴립테루스 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립테루스 비키르 (Polypterus bichir Geoffroy, 1802) (1) | 2024.05.11 |
---|---|
폴립테루스 안솔기 (Polypterus ansorgii Boulenger 1910) (3) | 2023.11.09 |
폴립테루스 엔드리케리 (Polypterus endlicheri Heckel, 1847) (1) | 2023.10.18 |
폴립테루스 모케렌벰베 (Polypterus mokelembembe Schliewen & Schäfer, 2006) (0) | 2023.01.31 |
폴립테루스 튜젤시 (Polypterus teugelsi Britz, 2004) (0) | 2023.01.31 |